🌸 자궁근종 몇 cm부터 위험할까?
크기별 치료법과 수술 시기 총정리
💬 “근종이 있다는데, 몇 cm부터 수술해야 하나요?”
처음 자궁근종을 진단받으면 가장 많이 하는 질문 중 하나예요.
"몇 cm가 되면 수술해야 하나요?"
하지만 답은 단순한 숫자가 아니에요.
자궁근종은 크기, 위치, 증상, 환자의 상태에 따라 치료 방향이 달라지거든요.
이 글에서는 크기 기준별 치료법, 수술이 필요한 상황, 자기 몸 상태에 맞는 판단 포인트를 정리해볼게요.
📏 자궁근종 크기별 기준표
자궁근종 크기 | 특징 및 증상 | 치료 방향 |
---|---|---|
2cm 미만 | 대부분 무증상, 건강검진에서 우연히 발견 | 경과 관찰, 6~12개월마다 초음파 추적 |
2~4cm | 증상 없으면 관찰, 일부 부정출혈 동반 가능 | 경과 관찰 또는 약물 치료 시도 |
5cm 전후 | 생리통, 생리과다, 빈뇨 등 증상 동반될 수 있음 | 약물치료 / 미레나 / 자궁내시경 고려 |
6~8cm | 자각 증상 명확, 자궁 압박·빈혈 발생 가능 | 수술 필요성 논의 시작, MRI 등 정밀검사 권장 |
9cm 이상 | 자궁 기형, 임신 방해, 심한 증상 유발 | 수술 적극 권장, 자궁보존 여부 상담 필수 |
🩺 수술이 필요한 기준은?
- 생리과다로 인한 빈혈이 심할 때
- 자궁이 커져서 방광·직장 압박 증상이 있을 때
- 임신을 준비하는데 근종 위치나 크기가 방해될 때
- 다발성 근종으로 재발 가능성이 높을 때
- 약물이나 미레나로 조절이 되지 않는 경우
📌 자궁근종 수술 시기, 이렇게 체크해요!
- 정기 초음파 검사에서 빠르게 커지고 있다면?
- 3개월 이상 증상이 지속되거나 악화된다면?
- 생리기간이 아닌데도 부정출혈이 있다면?
- 5cm 이상 + 빈혈 or 통증 or 압박감이 동반된다면?
👉 이럴 땐 전문의와 수술 여부를 꼭 상의해야 해요!
📚 꼭 기억해요!
자궁근종은 단순히 크기만으로 판단하지 않아요.
2cm라도 자궁내막 근처에 위치하면 심각한 증상을 유발할 수 있고,
반대로 5cm 이상이더라도 복강 쪽에 튀어나온 근종이라면 무증상일 수도 있어요.
📝 다음 편 예고
🎗️ 자궁근종 시리즈 7편:
“근종 위치별 특징 – 장막하, 점막하, 근층내 차이점 총정리”
각각 어떤 증상을 일으키고, 어떤 치료가 필요한지 파헤쳐볼게요!
📖 정보 출처
- 대한산부인과학회
- 국가건강정보포털
- 서울대학교병원 건강정보