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여성건강 정보

자궁근종 위치에 따라 증상이 다르다고?

by 희루핏 2025. 8. 6.

 

 

🌸 자궁근종 시리즈 7편
근종 위치별 특징 – 장막하, 점막하, 근층내 차이점 총정리

자궁근종의 위치, 알고 계셨나요?
자궁근종은 단순히 "크기"만으로 판단하긴 어렵습니다. 어디에 위치했느냐에 따라 증상도, 치료도, 예후도 달라지기 때문이죠. 특히 임신을 계획하고 있다면 근종의 위치는 놓쳐선 안 되는 중요한 정보예요.

💡 핵심 요약: 근종 위치에 따른 분류

  • 근층내 근종 (Intramural): 자궁 근육층 내부에 위치
  • 점막하 근종 (Submucosal): 자궁 내막 바로 아래에 돌출
  • 장막하 근종 (Subserosal): 자궁 외벽을 따라 자라는 형태

 

장막하 근종 (Subserosal Myoma)

  • 위치: 자궁의 가장 바깥쪽인 장막(자궁 외막) 아래에 발생합니다.
  • 주요 특징:
    • 주로 자궁 바깥쪽으로 자라나는 경향이 있어, 자궁 내부 공간에는 비교적 영향을 덜 줍니다.
    • 크기가 상당히 커질 때까지 특별한 증상이 없는 경우가 많아, 건강검진 등에서 우연히 발견되는 경우가 흔합니다.
  • 주요 증상:
    • 근종이 커지면서 주변 장기를 압박하여 증상을 유발합니다. 예를 들어, 방광을 누르면 빈뇨가, 직장을 누르면 변비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.
    • 하복부에서 덩어리가 만져지거나 복부 팽만감을 느낄 수도 있습니다.
    • 간혹 근종이 가느다란 줄기(peduncle)에 매달려 자라는 '유경성 근종'으로 발전하기도 하는데, 이 줄기가 꼬이면 급성 복통을 일으킬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.

점막하 근종 (Submucosal Myoma)

  • 위치: 자궁의 가장 안쪽인 점막(자궁 내막) 바로 아래에 발생합니다.
  • 주요 특징:
    • 자궁 안쪽 공간을 직접적으로 침범하기 때문에, 크기가 작아도 증상이 가장 뚜렷하고 심하게 나타나는 유형입니다.
    • 임신을 계획 중이거나 난임으로 고민하는 여성에게 가장 큰 영향을 미 줄 수 있는 위치의 근종입니다.
  • 주요 증상:
    • 가장 흔하고 특징적인 증상은 과다월경(생리량 비정상적 증가) 부정출혈(생리 기간이 아닌 출혈)입니다.
    • 과도한 출혈로 인해 빈혈이 발생하기 쉬우며, 이로 인해 어지러움, 피로감, 무기력증 등을 겪을 수 있습니다.
    • 수정란의 착상을 방해하여 난임 및 불임의 직접적인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.

근층내 근종 (Intramural Myoma)

  • 위치: 자궁의 가장 두꺼운 부분인 근육층 내부에 발생합니다.
  • 주요 특징:
    • 자궁근종 중 가장 흔하게 발견되는 유형입니다.
    • 근종의 크기와 위치에 따라 증상이 다양하게 나타나며, 때로는 장막하 근종이나 점막하 근종의 증상이 함께 나타나기도 합니다.
  • 주요 증상:
    • 자궁의 정상적인 수축을 방해하거나 근육층을 압박하여 심한 월경통이나 생리량 증가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.
    • 근종이 크게 자라면 자궁 전체의 모양을 변형시키기도 합니다.
    • 근종의 위치가 장막층이나 점막층에 가까워지면 해당 위치 근종의 증상(예: 압박 증상, 출혈)이 동반될 수 있습니다.
 

📊 위치별 증상과 치료 전략 한눈에 보기

종류 위치 대표 증상 치료 접근
근층내 근종 자궁의 근육층 중심 생리통, 과다출혈, 배뇨 불편 미레나, 호르몬 치료, 필요 시 수술
점막하 근종 자궁 내막 하부 심한 생리과다, 빈혈, 착상 방해 자궁내시경 절제술, 적극적 제거 권장
장막하 근종 자궁 바깥 장막 무증상, 압박 시 소화·배변 장애 정기 관찰, 큰 경우 개복수술


🤰 임신에 미치는 영향

위치별로 임신과 출산에도 영향을 줄 수 있어요. 점막하근종은 착상을 방해하고, 근층내근종은 자궁 내 환경을 변화시켜 임신 유지에 영향을 줍니다.
장막하근종은 상대적으로 임신과의 연관성이 낮지만, 매우 클 경우 태아의 위치나 출산 방식에 영향을 줄 수도 있습니다.

🧭 체크포인트

  • 📌 크기보다 위치가 중요할 수 있어요!
  • 📌 같은 근종이라도 내 몸에서 어떤 증상을 유발하는지 관찰해보세요.
  • 📌 미레나와 약물치료는 근층내근종에 효과적일 수 있어요.
  • 📌 점막하근종은 크기와 무관하게 적극적인 치료가 필요한 경우가 많습니다.
자궁근종은 단순히 '제거할 병'이 아닙니다.
내 몸과의 대화에서 시작되는 맞춤 치료가 진짜 전략입니다.

📖 참고자료

  • 보건복지부 및 건강보험심사평가원 건강정보
  • 대한산부인과학회 진료지침
  • PubMed, NCBI 등 해외 학술논문
  • ※ 본 글은 정보 제공용이며, 치료 및 진단은 반드시 전문의 상담을 권장합니다.